Android에 대한 小考(소고) – 구글의 사악성

※ Daum 소규모 지인 위주의 카페에 안드로이드 초기 느낀 점을 지인들과 공유하기 위해서 적은 글인데 어딘가 따로 정리가 필요해서 블로그로 복사합니다.

제가 유명한 컬럼니스트도 아니고 제목이 좀 자극적이어서 상당히 부담이 되는 부분이기는 합니다만 이건 낚시질을 위한 제목이 아니고 일부 인터넷에서 오고가는 얘기를 인용하다보니 제목이 극단적이 되었습니다.

결론은 구글이 사악하다는 것이 아니고 사악하지 않은 척 하지만 그 뒷면에 많은 어두운 면이 있다는 것입니다.

Google 검색 서비스 초기에 광고없는 검색 창 하나만 달랑 보이는 페이지를 보면서 어느 대학에서 학생들이 연구용으로 만들어 놓은 페이지인가 하면서 종종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Google Toolbar가 없는 IE는 어쩐지 허전해서 꼭 설치하고 PC를 사용해야 직성이 풀리고 회사 PC에는 Google Desktop을 설치해서 메일/문서를 찾을 때도 Google을 사용하고 구글 Mail, Google Doc, Google Groups, Piccasa Web, … 제가 실제로 사용하는 서비스들 입니다. 검색 결과가 탁월하고 속도가 빨라서 이용하기 시작했는데 지금 돌아보니 어느덧 ‘구글러’가 되어 있네요…

‘구글러’, ‘구글링’이라는 유행어를 만들어내고 사람들이 스스로를 구글에 연관시키는 부분은 대단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구글의 다양한 Web 기반 service들은 구글이 애써서 굳이 뒷문으로 정보를 빼돌리지 않아도 사용자 스스로가 개인 정보를 알아서 바치는 형태를 만들어내는 구글의 고도의 전략일 수도 있습니다.

FSF(Free Software Foundation,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을 설립한 리처드 스톨만이 언급한 “덫”에 대한 이야기
“웹 기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말라. 그렇게 하는 건 자신의 통제권을 잃는 일이다. 당신의 컴퓨터에 자유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당신만의 컴퓨팅을 하라. 독점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만큼 나쁜 것 웹기반 소프트웨어다. 당신이 독점 소프트웨어나 다른 누군가의 웹 서버에 있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한다는 당신은 자신을 방어할 아무런 힘도 없게된다. 누가 됐든 그 소프트웨어를 만든 사람의 손아귀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1.구글의 Goal – Gateway
어느 세미나를 갔더니 Google이 검색에 집중한 이유가 Web의 Gateway라서 그렇다고 합니다.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는 문구가 문득 떠오르네요)
NHN을 비롯한 우리나라 회사들이 컨텐츠를 집중하는 포털에 집중한데 반해서 전혀 새로운 시도로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성공을 거둔 Google인데, Mobile에서의 Gateway를 플랫폼이라고 생각했고 ‘Android’가 탄생한 배경이라고 합니다.

현재 구글에서는 막대한 비용이 투입된 Android로 어떻게 돈을 벌겠다라는 계획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막연하게 Mobile이 활성화가 되면 검색을 비롯한 Web Access 기회가 많아져서 기존 구글 사업에 이득이 될 것이라는 막연한 얘기만을 하고 있는 상황이죠.

제가 순진한 학생이라면 이런 말을 믿겠지만 수익성을 확보해야 하는 기업이 하는 말이라 진정성에 의문을 가지게 됩니다.
경영진이나 주주들에게는 어떤 식으로 설득했을까???

애플에서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App Store를 따라하는 후발주자 이면서 Open Market에서 수수료 정도의 수익만 떼고 개발자와 사업자에게 모두 떼어주는 전략은 구글 체크아웃이라는 사업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기 때문에 그 나마 속이 보이는 상황입니다만, 도대체 그 정체를 알 수 없는 기업입니다.

2.안드로이드 Kill Switch
아이폰에는 백도어가 있어 애플이 자사가 인증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을 원격으로 삭제할 수도 있습니다. 안드로이드는 초기 플랫폼에서는 없던 이 기능이 2008년 후반에 공식적(?)으로 지원되기 시작했습니다.

안드로이드 Open Market 컨텐츠에 대해서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에 대해서 인증을 하지 않기 때문에 악성 SW가 등록될 가능성이 많고 이를 위해서 기능이 필요악일 수도 있죠.

원래 목적이 Open Market에서 구매한 컨텐츠에 대해서 환불요청을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컨텐츠를 삭제할 것을 기대하지 않고 원격으로 해당 컨텐츠를 삭제하는 것이죠. (어찌 보면 당연하고 편리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만…)
우려하는 것은 Kill Switch가 구글이 마음 먹기에 따라서 Big Brother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3.책임지지 않는 구글
안드로이드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면 상당히 많은 장애물을 만나게 되는데 그 때마다 도달하는 결론이 있습니다.
안드로이드의 이면에는 구글이 책임지지 않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죠.

① Open Market
구글이 수익성을 직접적으로 확보하지 않는 대신에 컨텐츠 인증 등의 절차를 없애 모든 이슈를 사용자 간의 문제로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문제가 발생해도 구글은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는 구조라는 것이죠.

② Logo 테스트
MS의 로고 테스트는 인증의 개념에서 접근하지만 구글의 로고 테스트는 제휴 및 서비스 개념으로 접근합니다.
안드로이드 단말 테스트를 요청하면 테스트는 해주지만 FAIL 항목이 있다고 출시가 안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구글의 로고가 호환성이나 안정성을 담보하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로 결론은 구글이 책임지지 않는 다는 것입니다.

③ License
안드로이드는 GPL2, Apache2, … 등의 아주 복잡한 License가 얽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Java license는 아주 복잡하고 미묘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Java는 개발 중에는 license가 적용되지 않지만 상용화하는 순간에 license가 적용됩니다.
안드로이드 개발 과정에는 Sun의 Java license를 교묘히 피해가는 묘수가 동원되는데 개발 중에는 JDK를 비롯한 Java tool-chain 등 모든 도구를 사용합니다. 그러다가 바이너리가 만들어지는 그 순간에 Java VM용 byte code를 Dalvik VM용 byte code로 변환하여 license에서 자유롭다고 주장합니다.

물론 이 부분은 Sun사의 공식 입장과는 다른 것 같습니다.

문제는 안드로이드가 Sun사의 Java license를 침해했다는 결론에 도달해도 구글이 안드로이드로 인해서 얻은 수익을 증명할 수 없기 때문에 책임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죠.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출시한 제조사는 부당 이익을 증명할 수 있으므로 당연히 문제가 될테구요.

License 부분도 결국은 구글이 책임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3. 미확인 이슈 하나 더
이 부분은 제가 안드로이드 공부 초기에 어떤 블로그에서 읽은 내용인데, 어떤 블로그 인지 다시 찾지를 못해서 사실인지 아닌지 확인된 사항이 아닙니다만, 구글 안드로이드 License에는 구글이 판단하기에 Business적인 가치가 없다면
안드로이드를 더 이상 진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문구가 있다고 합니다. 판을 흔들 수 있는 아주 무서운 말인데 Open Project라는 이유로 간과되는 것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물론, Open Project이니 구글 없이도 진화를 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구글이 지배력을 확대하기 전에 안드로이드를 구글로부터 분리시키자는 주장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안드로이드가 완전한 Open Project는 아니라는 사실이 아주 중요합니다.
안드로이드 소스는 Private version과 Public version이 존재하며 OHA member에게만 Private version을 비롯한 고급 정보가 제공됩니다.

Non-public API가 존재하며 해당 API를 사용하면 SDK에서 소스 빌드가 되지 않기 때문에 Linux 상에서 개발을 해야 하는데 디버깅이 아주 복잡하고 어렵습니다.
안드로이드에서 기본 제공되는 대부분의 application이 Non-public API를 사용해서 Public version SDK로는 수정이 불가능하고 여러가지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개발이 가능합니다.

OHA member로 안드로이드가 세상에 빛을 볼때까지 투자한 비용이 있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이지만 이런 내용을 모르는 순진한 개발자들이 많다는 것이 문제인 것 같습니다.

좋게 생각하면 얼마든지 좋게 생각하고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문제 제기입니다.

다만, 구글의 모토가 “Don’t be Evil”로 사악해지지 말자는 것이고 인터넷에서 매력적인 서비스를 공짜로 제공하고 있는 자선사업가 같은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구글의 사악성이라는 잣대를 지속적으로 들이대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아직까지 구글은 사악하지 않습니다. 다만, 사악해질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어서 의심된다는 것이죠.

참고문헌
http://www.visionmobile.com/blog/2008/09/the-darker-side-of-android/

“클라우드 컴퓨팅, 그거 덫이야”…스톨만 일갈

Android에 대한 小考(소고) – 호환성과 불행의 씨앗

※ Daum 소규모 지인 위주의 카페에 안드로이드 초기 느낀 점을 지인들과 공유하기 위해서 적은 글인데 어딘가 따로 정리가 필요해서 블로그로 복사합니다.

아래 그림은 안드로이드 소개에서 꼭 보여지는 그림입니다. 파란색 영역은 JAVA, 초록색 영역은 C, 붉은색 영역은 Linux Kernel을 의미합니다.

Android architecture diagram
Android architecture diagram

원래 안드로이드에서는 Application은 Application framework 위에서 Java로 프로그래밍을 해야 합니다.
문제는 현 시점에서 Only Java로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다는 것이죠…
그 부분은 안드로이드 플랫폼 구조에서도 명확하게 보여집니다.
Application Framework 부터는 Java기반이지만 Libraries layer와 HAL layer 등은 C언어라는 것이고 Java언어와 C언어가 공존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다행인지 불행인지 Java application에서도 C library 사용이 가능합니다.
JNI(Java Native Interface)라는 기술을 사용하는 것인데 최근 안드로이드 관련해서 끊임없이 언급되는 용어입니다.

여기서 안드로이드의 불행이 시작됩니다.

현재 대부분의 Solution들은 C언어로 구현되어 있는데 어느날 갑자기 안드로이드가 대세가 되면서 Solution 업체들이 기존 코드를 Java로 모두 바꾸는 것을 포기하고 JNI interface를 이용해서 Solution을 재활용합니다.

물론, Libraries Layer에 기존 Core library들을 포팅하고 Application Framework 단에 Solution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Manager/Service Component 들을 만들어주면 좋은데 안드로이드 개발자가 거의 없고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이해하는 수준이 미천해서 대부분 업체들은 아래와 같은 두 가지의 간편한 방법을 이용합니다.

① Java Application이 JNI Interface를 이용해서 Library를 직접 호출하도록 하는 방법
② Application Framework을 통하지 않고 안드로이드 플랫폼 옆에 Solution을 Vertical로 배치하는 방법

안드로이드 최초 배포시에는 JNI에 대해서 Recommened하지 않았으나 기술적으로 사용을 제한하지 않아서 방관하는 입장이었고 향후에는 JNI를 정식으로 지원한다는 얘기도 종종 들리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Solution이 포팅이 되면서 Java VM 기반 플랫폼의 장점이 무색해지는 동시에 표준 Application Framework과 연동되지 않는 Solution으로 인해서 호환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Windows Mobile이나 Symbian같이 한 업체가 Ownership을 가지고 강력하게 통제를 하는 경우에는 호환성 문제가 심각하지 않지만 완전한 Open platform인 안드로이드는 이런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는데 세상에 빛을 본지 얼마되지 않아서 표준 구조가 무참히 깨지는 현실에 직면합니다.

호환성 문제는 이러한 Solution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안드로이드 표준 배포 버전인 v1.1과 v1.5 간에도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v1.5 플랫폼에서 Application을 개발하는 개발자는 v1.1 플랫폼에서도 정상 동작하는지 확인을 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 v1.5 SDK부터는 Virtual Device 개념을 도입해서 v1.1, v1.5 등 버전별로 Emulator를 별도 생성할 수 있습니다.

Linux가 Kernel 단에서는 구조적으로 호환성을 확보했다고는 하나 난립하는 Shell로 인해서 하나의 Shell에 익숙해진 사용자가 다른 Shell을 사용하지 못하는 현상이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지 않을까 심각하게 우려가 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이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생사의 기로에 영향을 끼칠 불행의 씨앗이 아닐까 싶습니다.

오늘은 기술적인 얘기가 주로 언급되었는데 다음번에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가장 큰 특장점인 Open Access에 대해서 얘기를 해볼까 합니다.

Open Access 개념이 생소하고 글로 얼마나 이해를 잘 시킬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상당히 획기적인 개념이고 안드로이드 플랫폼이 극찬받는 이유 중의 하나이므로 시간을 할애해서 이해를 하시면 좋은 경험이 될 듯 합니다.

Android에 대한 小考(소고) – Java

※ Daum 소규모 지인 위주의 카페에 안드로이드 초기 느낀 점을 지인들과 공유하기 위해서 적은 글인데 어딘가 따로 정리가 필요해서 블로그로 복사합니다.

1.첫인상 – Java라니….
안드로이드에 대한 첫인상은 도대체 그 정체를 알 수 없는 놈이었습니다.
구조적으로 Windows 같은 General Purpose 계열의 OS도 아니고 그렇다고 Embedded System에 맞는 OS도 아니고..
쌩뚱맞은 Linux에 더 쌩뚱맞은 Java라니…

Linux Kernel이야 REX에서 L4 micro kernel로 자연스럽게 적응되는 과정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물론 L4가 적용되면서 REX에서 잘 돌던 코드들이 System Panic 현상을 무수히 발생시켜 죽어라 고생했지만…) 그 동안 단말에서 Java 기반으로 시스템을 구성하려는 수 많은 시도가 있었지만 결국은 C기반의 대세를 뒤집지 못한 상황을 많이 보았던 터라 플랫폼에서 Java 언어만을 지원하는 혁명적인 상황에 좀 당혹스러웠습니다.
아이폰은 Objective-C로 개발한다고 하던데 이러한 부분에 대한 타협점이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현 시점에서의 결론은 안드로이드를 공부하다보니 역시 머리좋은 넘들이 만들어 놓은 거라 구조도 잘 잡아 놓고 구석 구석 꼼꼼하게 고민한 흔적들이 보인다는 것입니다. 아직 실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단계가 아니고 공부하는 단계이다 보니 단점보다는 장점이 더 많이 보이는 게 어쩔 수 없는 현상으로 당분간은 좋은 점만 나열할 것 같네요…

2.Why Java
Open Market이라는 큰 그림상에서 보안을 비롯하여 안정성을 쉽게 확보하기 위한 불가피한 결론으로 보입니다.

천문학적인 금액을 투입한 Windows도 보안이 뚫리는 마당에 아무리 Linux Kernel을 사용한다고 한들 Virus를 비롯한 특정 application에 의한 단말 Panic 현상을 방지할 만한 뾰족한 수가 없지 않았을까 합니다.
(나중에 따로 언급하겠지만 요즘 이러한 방어 구조들이 망가지고 있어서 심히 우려스럽습니다만…)

Java 엔지니어보다 C 엔지니어가 절대적으로 많은 우리나라 제조사들에게는 안드로이드가 대세가 되기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만한 부정적인 요소가 될 것 같습니다.